본문 바로가기

대뇌

[ 유전과 말더듬인의 뇌 4 ] ▶︎후두 반사를 조정. 연구자들은 내시경(광섬유 튜브와 전극)을 이용하여, 말을 더듬는 동안에 후두에서 일어나는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관찰하였다. 기도를 노작성으로 폐쇄하는 것과 더불어, 후두 근육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들로 수축되어 부적당한 발성을 산출하였다. 이러한 움직임들은 불수의적이고, 말더듬인에게 의도적으로 말을 더듬으라고 했을 때 똑같은 움직임을 나타낼 수 없었다. 어떤 전문가들은 이러한 행동이 말을 하는 동안에 기압이 변함으로써 자극을 받는 자동적인 반사작용 때문에 야기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들은 말더듬인의 뇌에서 발성을 방해하는 후두의 반사작용을 억제하는 능력에 결함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이것은 부적절한 반사작용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기저핵에서의 어떤 결함을 암시할 지도.. 더보기
[ 유전과 말더듬인의 뇌 2 ] 유전된 특징이 무엇이든지 간에, 대뇌의 구조의 결함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X-rays, CAT 스캔, MRI 스캔 등과 같은 진단 검사들의 결과 발달성 말더듬의 원인이 되는 신체적 비정상들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생리적 대뇌 결함들이 각 개인들에게 나타날 수도 있지만, 그 결함들은 일반적으로 발달성 말더듬인들에게서는 공통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그 결함들은 심지어 유전되지도 않는다. 보통, 생리적 결함들은 후천성 말더듬인들의 대뇌에서만 보여지고, 상해, 또는 질병으로 인해 발생된 비-유전적 손상을 나타낸다. 후천성 말더듬인들에게서 대뇌 손상의 위치에 관한 연구를 함으로써, 어떤 연구잘들은 또한 발달성 말더듬과도 관련되어 있을지도 모르는 대뇌에서의 정확.. 더보기
[ 대뇌의 구어기능 2 ] 구어의 산출은 자동차의 조립공정라인처럼, 일직선형으로 뇌를 통하여 단순히 움직이는 것이 아니다. 구어는 각 신체 부분이 서로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치면서 많은 부부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유기적인 프로세스이다. 구어는 또한 피질 이외에도 뇌에서 많은 구조들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변역계(limbic system)는 구어를 하도록 유도하는 기본적인 동기(basic drive)를 제공한다. 기저핵(basal ganglia)은 연합 영역들과 뇌의 다른 부분들 사이의 중계소로써 활동한다. 게다가, 기저핵은 구어를 하는데 방해를 할 수도 있는 다른 유형의 운동 활동들을 억압함으로써 구어의 움직임을 촉진한다. 뇌간에 위치하고 있는 시상(thalamus)은 브로커 영역 및 워니키 영역의 .. 더보기
[ 대뇌의 구어기능 ] 신경원들은 뇌(brain) 속에 다수의 더 큰 구조로 조직되어서, 그 구조 자체의 특수한 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들 중에서, 가장 큰 구조는 머리의 윗부분을 채우고 있는 대뇌(cerebrum)이다. 대뇌는 작은 멜론 정도의 크기이며, 표면에는 호두처럼 주름이 져있다. 대뇌는 중앙에서 대뇌종열(longitudinal fissure)이라고 하는 깊은 열(valley)에 의해서 왼쪽과 오른쪽으로 양분되는데, 이를 반구(hemispheres)라고 한다. 뇌의 표면은 수많은 고랑(gyri, 회)과 이랑(fissures or sulci, 열 혹은 구)으로 접혀있다. 이렇게 디자인된 것은 두개골 내에 많은 양의 표면을 압착되어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 표면은 대뇌피질(cerebral cortex.. 더보기
[ 말더듬의 기원 3 ] 말더듬인들의 약 50%에서 말더듬이 유전적인 요인들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 제 15장에서 볼 수 있듯이, 말을 더듬는 친척이 있는 아동들이 말을 더듬을 가능성이 더 크다. 또한, 말더듬의 상관성은 이란성 쌍생아들 사이에 보다는 일란성 쌍생아 사이에 더 크다. 그러나, 유전적 요인들이 분명히 다 맞는 주장은 아니다. 유전적 요인들은 어떤 아동들이 말더듬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결정할 때 포함될 수도 있지만, 유전적 요인들은 어떤 아동이 얼마나 자주 혹은 얼마나 심하게 말을 더듬을 것인지 와는 아무런 관련성이 없는 것 같다. 더구나, 가장 중요한 유전적 요인들은 자발적으로 말더듬으로부터 회복된 아동의 75% 혹은 말더듬을 지속하고 있는 아동의 25%에 속하는 지에 대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