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많은 부분들의 상호작용 >
구어의 산출은 자동차의 조립공정라인처럼, 일직선형으로 뇌를 통하여 단순히 움직이는 것이 아니다. 구어는 각 신체 부분이 서로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치면서 많은 부부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유기적인 프로세스이다. 구어는 또한 피질 이외에도 뇌에서 많은 구조들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변역계(limbic system)는 구어를 하도록 유도하는 기본적인 동기(basic drive)를 제공한다. 기저핵(basal ganglia)은 연합 영역들과 뇌의 다른 부분들 사이의 중계소로써 활동한다. 게다가, 기저핵은 구어를 하는데 방해를 할 수도 있는 다른 유형의 운동 활동들을 억압함으로써 구어의 움직임을 촉진한다.
뇌간에 위치하고 있는 시상(thalamus)은 브로커 영역 및 워니키 영역의 활동들을 협응시킨다. 어떤 연구자들은 시상도 타이밍 맞추기, 동작 시작하기, 구어 변조하기(modulating) 및 호흡 조절하기 등에 어느 정도로 참여한다고 믿는다. 소뇌는 조음의 빠르고 정확한 동작뿐만 아니라,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부드럽게 전이하도록 협응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 경험 효과 >
컴퓨터와는 달리, 뇌는 살아 있는 유기체인 것이다. 비록, 뇌 세포 수는 초기 아동기 후에는 증가하지 않지만, 우리의 경험들과 행동은 뇌 안에 있는 시냅스 연결의 수에 대단히 영향을 미칠 수도 있고, 그 결과로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리가 새로운 활동을 할 때 뉴런의 수상돌기(dendrites), 돌기(spines) 및 시냅스 종말 등이 성장하여 새로운 연결을 만든다. 이것은 아동이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뇌의 크기가 신체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시기인 인생의 초기 몇 년 동안에 특히 중요하다. 그러나 이 프로세스는 우리의 일생동안에 어느 정도 계속 되어진다.
우리가 처음으로 새로운 기술을 배울 때, 뉴런들은 뇌와 필요한 행위를 하는데 참여해야 하는 신체 등의 부분들에게 신경 통로를 형성하도록 시도하면서 주변 영역을 모색해 나간다. 탐험가가 황야를 통과하는 지름길을 찾는 것처럼, 뉴런들은 바른 연결을 하려고 찾을 때,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서 나아갈 것이다. 우리가 연습을 계속함에 따라, 신경로는 점점 더 강해지고, 능률적이게 된다. 반복 사용함으로써, 그 길은 하나의 길이 되고, 또 그 다음에는 고속도로가 된다.
우리가 특정한 활동들에 몰두하면 할수록, 그 많은 더 많은 뉴런과 신경로가 그러한 유형의 행동에 몰두하게 될 것이다. 자전거를 타거나, 혹은 공을 던지는 것 같은 기술은 너무나 습관화되어서, 우리는 결코 잊어버리지 않게 될 것이다. 그들의 신경로는 뇌의 어떠한 부분에서 뉴런, 축삭, 및 수상돌기 등의 네트워크 내에 보존될 것이다. 반대로, 우리가 소홀히 하는 행동은 뉴런의 수가 적고, 시냅스 연결이 더 적고, 사용되는 신경로가 더 약할 것이다.
< 신경로와 말더듬 >
동일한 원리가 구어에도 적용된다. 우리가 말을 많이 하면 할수록, 뇌와 구어 기관의 구어센터를 연결하는 통로들이 그만큼 더 강해진다. 이러한 사실은 말더듬인의 구어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만약 어떤 아동의 초기 비유창성이 말하는 것을 억제한다면, 그의 구어 경험은 어느 정도 제한되어 질 것이다. 결과적으로 그 아동의 뇌의 구어 영역들은 말을 더 자주 하는 아동들에서처럼 충분하게 발달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결함은 만약 그 아동이 말을 억지로 내려고 노력할 때, 발살바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기압을 증가시키는 것을 배운다면, 한층 더 복잡해질 것이다.
말하려고 투쟁하는 동안에 발살바 조정을 반복해서 수행함으로써, 뇌에 있는 구어 센터로부터 발살바 메커니즘에까지 강력한 신경로가 확립될 것이다. 이러한 행동이 뇌의 발달을 형성하는 몇 년 동안(특히 5~7세 동안)에 계속된다면, 이 통로는 발성과 구어를 위한 통로로 영원히 각인되게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뇌의 구어 기능은 스트레스를 받을 때에 만성적으로 약하게 유지되고 방해를 받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발살바 메커니즘을 조정하게 되는 신경학적 경향을 가지게 될 것이고, 이것이 발성에 어려움을 야기시키고, 지나치게 노작성 폐쇄를 일으키고, 다른 형태의 말더듬 행동을 일으키게 된다.
다음 장에서, 우리는 말더듬인의 뇌가 유창한 사람의 뇌와 다소 다른가라는 의문점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우리는 말더듬이 유전이나 혹은 다양한 신경학적 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도 있는 범위를 탐구할 것이다.
[ 유전과 말더듬인의 뇌 ]
말더듬은 학습된 행동이나 심리적 및 환경적인 영향만으로는 충분히 설명되지 않는다. 우리는 왜 어떤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말을 더듬을 가능성이 더 많다고 결정하는지 그 이유를 어딘가에서 찾아야만 한다. 많은 구어과학자(speech scientists)들은 말을 더듬게 되는 경향을 뇌의 구조적 혹은 화학적 비정상을 통해서 유전된다고 믿고 있다.
이러한 가능성은 말더듬인들에게 심한 영향을 미친다. 우리들 중 많은 사람들이 말더듬은 정신병이나 개인적인 잘못이라는 낙인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기 때문에, 순수한 심리적인 원인보다는 유전된 유기체적 근거를 가지고 있다라는 생각을 좋아한다. 우리가 유창해지려고 시도했던 많은 노력이 실패한 것에 대해 우리 자신을 비난하는 것을 멈출 수 있다. 말하자면 잘못은 우리 자신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유전인자에 있는 것이다.
한편으로, 우리 자신을 대뇌결함의 무력한 희생자로서 생각하는 것은 실망스러운 것이며, 바람직하지도 않다. 말더듬이 우리의 "잘못"이 아니기 때문이라는 것은 그 말더듬이 완전히 우리의 통제 밖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우리가 그 결함이 무엇이고, 말더듬을 어떻게 촉진시키는지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면, 아마 그 결함에도 불구하고 유창성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전략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본장에서, 우리는 말더듬에 있어서 유전적인 요인에 포함될 수 있는 신경학상의 결함의 유형에 관한 중요한 의문점들에 관해서 살펴볼 것이다.
========================================================================================
출처 : 책 ⌜발살바 말더듬 치료⌟ 권도하 저
'⌜리뷰⌟ 발살바 말더듬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유전과 말더듬인의 뇌 2 ] (0) | 2022.01.20 |
---|---|
[ 유전과 말더듬인의 뇌 ] (0) | 2022.01.19 |
[ 대뇌의 구어기능 ] (0) | 2022.01.17 |
[ 말더듬의 기원 3 ] (0) | 2022.01.17 |
[ 말더듬의 기원 2 ] (0) | 2022.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