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ttering

[ 말더듬을 위한 자조 ] 전문가가 하는 치료가 말더듬을 조정하는 유일한 길은 아니다. 많은 말더듬인들은 대안적 치료 또는 보조적 치료로써 다양한 형태의 자조(self-help)를 사용하여 왔다. 어떤 사람들은 그들이 치료법을 발견할 수 없거나 치료를 할 여유가 없기 때문에, 또는 그들이 시도한 치료법들이 실패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경로(route)를 선택하였다. 또 어떤 사람들은 그들이 배운 유창성 기법들을 연습하고 강화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식인 치료를 사후점검(followed-up)하는 것으로써 자조를 사용한다. 자조는 맹목적 투쟁(blind struggle)과 많은 말더듬인들이 빠져버리게 되는 "말을 안더듬으려고 하는(stop stuttering)" 투쟁을 명확하게 구별되어져야 한다. 우리가 자조에 대해 말할 때, 우리는 건.. 더보기
[ 말더듬 경험 2 ] "말더듬"(stuttering) 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언어치료사들에게 있어서 종종 서로 의견이 일치하지 않은 문제이다. 따라서 본서에서 말더듬이란 용어를 사용할 때 그 의미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설명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말더듬이란 입이나 후두의 노작성 폐쇄(힘이 들어간 폐쇄; forceful closures), 음이나 음절의 반복이나 연장, 혹은 소리를 내면서 머뭇거리거나 지체함으로써 구어의 흐름이 불수의적으로 중단되는 경향이 있는 특정 구어 장애를 말한다. 말더듬은 일반적으로 말을 하기 위한 노력에서 과도한 양의 노력, 힘, 투쟁 등을 수반한다. 말더듬은 또한 막힘을 회피하거나, 연기하거나, 숨기려는 다양한 행동들을 수반할 수도 있다. 말더듬은 가끔 "stammering".. 더보기
[ 말더듬 경험 ] 우리는 말(구어; speech)이 지배하는 세상에 살고 있다. 집, 학교, 직장, 사회적 모임 등의 거의 모든 장소에서 사람들이 서로 이해하고 아이디어, 정보, 감정 등을 서로 나누어가지기 위한 수단으로 구어를 사용하고 있다. 구어를 통해, 우리는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우리가 왜 중요한지 등에 대해 이야기한다. 구어를 통해 대화를 함으로써, 우리는 우정을 키우고, 다른 사람들을 대하는 기술을 익히게 된다. 구어는 마치 우리들이 사회라는 천을 짜는 필요한 실과도 같은 것이다. 사람들은 보통 말을 하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어떤 생각이 마음속에 떠오를 때, 사람들은 그저 입을 열기만 하면 된다. 자동적으로 뇌는 적당한 단어를 떠올리고, 구어 기관으로 그 단어들을 내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