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뷰⌟ 발살바 말더듬 치료

[ 말더듬을 위한 자조 ]

 전문가가 하는 치료가 말더듬을 조정하는 유일한 길은 아니다. 많은 말더듬인들은 대안적 치료 또는 보조적 치료로써 다양한 형태의 자조(self-help)를 사용하여 왔다. 어떤 사람들은 그들이 치료법을 발견할 수 없거나 치료를 할 여유가 없기 때문에, 또는 그들이 시도한 치료법들이 실패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경로(route)를 선택하였다. 또 어떤 사람들은 그들이 배운 유창성 기법들을 연습하고 강화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식인 치료를 사후점검(followed-up)하는 것으로써 자조를 사용한다.

 

 자조는 맹목적 투쟁(blind struggle)과 많은 말더듬인들이 빠져버리게 되는 "말을 안더듬으려고 하는(stop stuttering)" 투쟁을 명확하게 구별되어져야 한다. 우리가 자조에 대해 말할 때, 우리는 건정한 치료 원리에 근거하여 자신의 유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극기 접근법(disciplined approch)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자조는 말더듬의 본질과 그것을 조절하는 방법들에 대해 자기 자신을 교육하는 것으로 시작되어야 한다.

 

 우리가 보아온 것처럼, 말더듬의 원인과 치료에 관하여 서로 상반되는 것들이 있기 때문에, 말더듬에 관하여 배우는 것은 매우 혼동을 줄 수 있다. 바라건대, 본서가 그 과업을 좀 더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많은 정보는 미국 말더듬 재단(Stuttering Foundation of America)(옛 명칭은 the Speech Foundation of America), 전국 말더듬 협회(National Stuttering Association)(옛 명칭은 National Stuttering Project), 미국 언어-구어-청각 협회(American Speech-Lauguage-Hearing Association)("ASHA"), 인터넷 등을 통하여 관련 자료들을 얻을 수 있다.

 

 자조의 다음 단계에서, 말더듬인은 말하기 연습(speaking exercise)과 유창성 기법들을 연습한다. 이러한 것들은 자조 서적들(self-help books)로 배우거나 말더듬인이 잘 아는 이전에 배운 치료법들에서 채택될 것이다. 많은 말더듬이들은 낭독을 하는 것으로 연습한다. 어떤 말더듬인들은 자신의 진전(progress)을 모니터하기 위해서 소형 녹음기를 가지고 다닌다. 심지어 소수의 말더듬인들은 유창성을 촉진시키기는 자기 자신의 방법으로 실험을 하기도 한다.

 

 선택된 정확한 양식의 자조는 각 개인과 또 그 개인이 살고 있는 지연사회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재원(resources)에 따라 다를 것이다. 가장 유용한 전략들 중의 하나는 말더듬인들이 다른 사람들과 말하고 상호작용할 기회를 증가시키는 활동들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이러한 것들에는 지역사회의 프로젝트, 종교적인 조직, 아마추어 연극회, 웅변 클럽,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말더듬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이러한 지역에서 자조 지원 클럽에 참여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자신의 말더듬에도 불구하고, 좀더 적극적이고 외향적이 되려고 하는 말더듬인의 의지는 어쩌면 그 어떠한 다른 요인들보다도 유창성에 장기간에 걸친 향상을 더 많이 가져왔다.

 

 

< 자조 대 치료(self-Help vs. Therapy) >

 

 이전의 여러 장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사람들은 말더듬을 완전히 치료(total cure)하는 단 하나의 치료법이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어떠한 말더듬 치료 프로그램으로 산출된 초기에 보이는 유창성은 실생활의 냉정한 환경에서 빨리 사라질 수도 있다. 한 사람에게 기적처럼 작용하던 어떤 치료가 다른 사람들에게는 재앙일 수도 있다. 한 사람에게 기적처럼 작용하던 어떤 치료가 다른 사람들에게는 재앙일 수도 있다. 많은 말더듬인들은 그 치료가 말더듬에서 해방을 시키든가 아니면, 치료를 포기하기 전에 여러 가지 형태의 치료를 시도한다.

 

 치료에 대한 말더듬인들의 의견이 그들이 경험한 치료의 성공 정도에 따라 다른 것은 자연스런 것이다. 치료를 받은 모든 말더듬인들 중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받아 들여지고 있는 경험법칙(rule-of-thumb)은 다음과 같다.

 

  ● 약 1/3은 실질적이고 장기간에 걸쳐 말더듬으로부터 해방된다.

  ● 약 1/3은 다소 향상된다.

  ● 약 1/3은 지속적인 이익이 전혀 없거나 이번보다 더 악화된다.

 

 가장 성공적인 1/3은 아마도 어떠한 형태의 치료를 하더라도 그들을 구제해 줄 것이라는 것이다. 그들은 치료를 자조보다 훨씬 우수한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가장 적은 행운을 얻는 사람들은 치료사들을 사기꾼 집단으로 비난하는 것 같다. 그들은 자조를 자신들의 희망을 뭉개버리고 돈이나 없애버리게 하는 실패한 일련의 치료들보다는 훨씬 더 가치 있는(그리고 경제적인)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가 전문가적 치료와 자조를 보다 객관적으로 볼 때, 아마 둘 다가 말더듬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것일 수도 있는 것 같다. 적당하게 사용된다면, 전문가가 하는 치료와 자조 둘 다가 서로 보완하고 강화할 것이다.

 

 심지어 치료 중에 있는 말더듬인들에게도, 자조 정신은 회복에 절대적으로 중요한 것이다. 말더듬의 조정은 치료사가 우리들에게 무언가를 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우리들 자신이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숙달해야 하는 기술(skill)이다. 언어치료사들은  고치는 사람(healers)이라기보다는 코치(coaches)로 보아야 할 것이다. 언어치료사들은 우리들에게 유창한 기술을 가르치고, 우리의 연습을 감독하고, 우리의 잘못을 지적하며, 우리가 그것을 고치도록 도와 줄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일단 치료실을 나오면, 우리는 우리 자신의 방법대로 하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유창성에서 치료가 주는 어떠한 이득이라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우리 자신의 치료사가 되는 것을 배워야 한다.

 

 반대로, 말더듬인이 이미 치료를 경험하였다면, 자조는 상당히 더 쉬운 것이다. 숙련된 치료사들로부터 받는 개인 지도와 피드백은 단순히 책을 읽어서 얻어질 수 없는 경험인 것이다. 전문적인 지도를 받지 않으면, 말더듬인들은 그들의 진전을 저해하는 기법에서 오류 또는 다른 자멸적인(self-defeatin) 태도나 행동 등을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자조가 회복하는데 필수적인 것인 것처럼, 우리가 자조를 완전히 혼자서 하지 않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치료사의 도움을 받는 것과는 별개로, 말더듬인은 자신의 구어를 모니터해주거나 그렇지 않다면 자신의 연습을 도와줄 것을 인정많은 친구나 친척들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다. 심지어 더 가치있는 도움을 자조 지원 그룹들(self-help support groups)에서 발견되는 것처럼, 다른 말더듬인으로부터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

 

출처 : 책 ⌜발살바 말더듬 치료⌟ 권도하 저

 

 

'⌜리뷰⌟ 발살바 말더듬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말더듬을 위한 자조 3 ]  (0) 2022.02.18
[ 말더듬을 위한 자조 2 ]  (0) 2022.02.17
[ 행동 중심 치료 4 ]  (0) 2022.02.13
[ 행동 중심 치료 3 ]  (0) 2022.02.12
[ 행동 중심 치료 2 ]  (0) 2022.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