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식호흡 썸네일형 리스트형 [ 일상생활에서 구어를 위한 발살바 조절 ] 당신이 일상생활에서 구어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는 동안에 말더듬을 조절하는 능력은 단지 그 문제를 정싱적으로 이해하는 것만으로 해결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것은 구어에 대한 당신의 태도들 및 말하기 상황들에 대한 당신의 신체적 및 신경학적 반응들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변화는 하룻밤 사이에 일어나지 않을 것이며, 쉽게 이루어지지도 않을 것이다. 그 변화들을 정착시키기 위해, 말더듬이 해왔던 것처럼, 그 변화들은 뇌와 신체의 신경로들에 지워지지 않도록 각인되어져야 한다. 이것은 오직 실제적인 연습을 통해서만, 즉 새로운 행동 패턴들이 제 2의 천성(second nature)이 될 때까지 그 새로운 패턴들의 끊임없는 반복을 통해서만 성취되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매일 발살바 조절.. 더보기 [ 발성 연습 ] 앞 장에서 서술한 발살바 이완 및 호흡 방법을 토대로, 우리는 지금부터 발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연습을 소개하고자 한다. 발성 연습(phonation exercises)의 근본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노작성 폐쇄(effort closure) 대신에 발성을 하기 위한 후두를 신경학적으로 "조정(tuning)" 함으로써, 발살바 메커니즘을 이완시키기 위해서. ∙ 구어의 유성음을 만들기 위한 성대의 준비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 우리가 단어를 힘을 주어 밀어 내야 하는 "무언가"가 아니라, 발성과 일련의 조음 운동으로써 단어들을 처리하도록 강요함으로써, 우리가 구어를 프로세스하는 방식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다음에 오는 모든 연습에서, 첫 번째.. 더보기 [ 발살바 조절을 위한 연습 3 ] 많은 말더듬인들이 헐떡거리거나(gasping), 숨을 멈추거나(holding), 힘들여 호흡하거나(forcing), 폐에 충분한 공기 없이 말을 시작하거나 하는 등의 불규칙적인 호흡 습관을 발달시킨다. 종종 호흡이 발살바 메커니즘이나 말더듬인의 회피 행동의 담보가 되는 것 같다. 우리는 이제 구어에 필요한 기류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발살바 메커니즘을 이완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는 호흡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호흡법이 제 2의 천성이 될 때까지 매일 꾸준하게 연습해야 한다. 첫째, 앞에서 기술하였던 연습을 사용하여, 당신의 발살바 메커니즘을 이완시켜라. 호흡하는 동안에, 가능한 한 직장을 이완시켜라. 흉부를 앞으로 굽히기(slouching)보다 고정시키고(sticking), 어깨를 뒤.. 더보기 이전 1 다음